자궁근종 임신, 수술
자궁근종 임신, 수술
자궁근종은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어도 수술해서 없애야 하는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양성 종양이지만 오래 놔둔다고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마저 희박합니다.
연령이 좀 많은 여성인 경우 자라는 속도가 굉장히 빠르거나 변성이 심해 보이는 경우, 폐경이 되었지만 계속 근종이 자라는 경우는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임신에 대한 영향
자궁근종은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중 자궁 안쪽으로 자라는 점막 하 근종이 임신율, 출산율, 수정률을 떨어뜨립니다. 임신에 방해가 되는 근종으로 유산율도 증가시킵니다.
임신이 잘 안 되는 분들은 수술을 먼저 하고 임신을 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나머지 2가지로 근층 내 근종, 장막 하 근종의 경우에는 임신과 관련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임신을 먼저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혹시 임신이 잘 안 되는 경우에는 근종이 원인일지 전문의와 수술을 해야 할지 상담 후 결정이 필요합니다.
2. 제왕절개
근종이 있다고 모두 제왕절개를 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정상분만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임신 중에는 근종 치료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임신 중에도 근종이 급격하게 크기가 커진다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특히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때는 증상에 대한 치료를 우선시하고 근종을 제거는 임신 중에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무조건 근종을 다 없애고 임신을 해야 하나?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임신이 안 될 때는 수술을 고려하시고 만약에 근종 수술을 하셨는데 임신을 하셨다면 제왕절개 분만을 하는 것이 산모와 아이에게 안전합니다.
3. 치료시기
대부분의 근종은 일단 필요가 없다고 진단을 많이 합니다.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심한 증상으로 인해 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거나 난임의 원인이 된다면 치료를 권장합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수술을 하는 건 아닙니다. 6cm, 8cm, 10cm 이상이면 꼭 해야 된다 이런 것은 아닙니다. 10cm 정도면 주먹 정도의 크기입니다. 크기가 클수록 증상은 심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증상에 따라 수술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자궁근종은 꾸준한 정기검진이 필요합니다.
크기가 빠르게 또는 지속적으로 커질 때 치료를 하는 것입니다.
4. 임신 전에 수술해야 하는 이유
근종의 크기가 갑자기 커지거나 초음파, MRI 검사상 모양이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 착상하는 자궁 내막을 누르고 있어 착상을 방해하는 경우입니다. 그리고 크기가 커서 임신 중에 통증이나 조기 진통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임신 전에 수술 또는 시술로써 제거할 수 있습니다.
5. 수술 및 시술 방법
최소한의 부위만 절개하는 복강경 수술, 크기가 많이 큰 경우 개복수술이 있습니다. 때에 따라 여성의 입장에서 몸에 큰 부담을 주는 자궁적출술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재발 가능성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지만 근종절제술 후에 재발돼서 또다시 근종 수술을 할 수 있지만 모든 여성이 그것 때문에 적출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최대한 몸에 부작용을 줄이고 신체에 해를 가하지 않는 쪽으로 치료를 받는 것은 권장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비용적인 부담은 있지만 실비보험으로 상당 부분 보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하이푸 시술이 있습니다.
가장 큰 장점으로는 신체를 절개하지 않고 치료가 필요한 부위를 외부 영상 촬영을 통해 고출력 초음파를 이용하여 체내에 근종을 열로 태우는 치료입니다.
하지만 크기가 크거나 근종의 수가 많은지 등 치료가 가능한 종양이 아닐 수 있기에 시술이 가능한지 나에게 맞는 진단이 필요합니다. 모든 수술, 시술에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부작용이 따를 수 있기에 나의 상태를 면밀히 점검하고 치료를 받길 권장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건강 정보] 자궁근종 자연치유에 좋은 음식
[건강 정보] 자궁근종 원인과 증상, 자연치유?
[건강 정보] 여성 갱년기는 호르몬 치료가 필요한가?
[건강 정보] 갱년기 호르몬제 종류 및 부작용
댓글